2025년 24주차 북미 박스오피스 - 실사화란 이런 것. 모범 답안을 들고 나온 '드래곤 길들이기'
2025년 23주차 북미 박스오피스 - 2025년 흥행 키워드? 액션은 아닌 것 같다.2025년 22주차 북미 박스오피스 - 스티치가 디즈니를 살렸다!2025년 21주차 북미 박스오피스 - 귀여우면 끝이다!2025년 20주차
southern.tistory.com
※포스팅 일정 - 일(예상 수익)/월(예상 수익)/화(실질 수익)
▼요약 버전
순위/제목
|
주말 수익
|
누적수익
|
1위(=) 드래곤 길들이기 (유니버설)
|
$35,700,000
|
$159,100,000
|
2위(N) 28년 후 (소니)
|
$31,000,000
|
$31,000,000
|
3위(N) 엘리오 (디즈니)
|
$22,000,000
|
$22,000,000
|
4위(▼2) 릴로 & 스티치 (디즈니)
|
$9,700,000
|
$386,700,000
|
5위(▼1)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파라마운트)
|
$7,100,000
|
$178,900,000
|
6위(▼3) 머터리얼리스트 (A24)
|
$6,000,000
|
$24,100,000
|
7위(▼2) 발레리나 (라이온스게이트)
|
$4,600,000
|
$51,200,000
|
8위(▼2) 베스트 키드: 레전드 (소니)
|
$2,400,000
|
$49,300,000
|
9위(▼2)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블러드라인 (워너)
|
$1,900,000
|
$134,800,000
|
10위(N) 쿠베라 (Prath)
|
$1,850,000
|
$1,850,000
|
1위(=) How to Train Your Dragon (유니버설)
드래곤 길들이기 2025년 6월 6일 국내 개봉
주말수익 - $35,700,000 (수익증감률 -58%)
누적수익 - $159,100,000
해외수익 - $113,321,764
세계수익 - $272,421,764
상영관수 -4,373개 (+13)
상영기간 - 2주차
제작비 - $150,000,000
평가 - 77%(토마토미터) / A(시네마스코어)

-지난주 8,463만 달러의 개봉수익을 기록하면서 압도적 1위로 등장했던 <드래곤 길들이기>가 이번 주에도 1위 자릴 지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중 첫 번째 실사 프로젝트였기에 흥행 성적이 좋지 않다고 하더라도 나름 비싼 수업료를 지불한 셈 치자고 해도 되었을 것입니다. (이미 디즈니는 꽤 비싼 수업료를 지불했으니까요). 그런데 첫 번째 프로젝트부터 성공했습니다. 이미 개봉 첫 주에 전 세계 수익 2억 달러에 육박한 기록을 보여주었고요.(개봉 2주차에는 3억 달러로...)
개봉 2주차까지 <드래곤 길들이기>가 쌓은 수익은 약 1억 6,000만 달러로, 애니메이션 2편, 3편의 북미 최종수익과 엇비슷한 수준입니다. 이 흐름대로라면 '드래곤 길들이기'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시리즈 중에서는 일단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사실 <드래곤 길들이기>가 이번 주에도 1위 자릴 지킬 수 있을 확률이 높지는 않았습니다. 워낙에 강력한 신작 두 편이 선보이는 상황이었고, 실제로 금요일에는 1위 자릴 내주기도 했습니다. 역시 주말에는 가족 단위 관객들이 몰리고 여전히 입소문과 IMAX 효과를 본 것이 1위 지키기에 성공한 것으로 보이네요.
드래곤 길들이기 박스오피스 히스토리
|
|||
제목
|
개봉수익
|
북미수익
|
해외수익
|
드래곤 길들이기 (2010)
|
$43,732,319
|
$217,581,231
|
$277,298,240
|
드래곤 길들이기 2 (2014)
|
$49,451,322
|
$177,002,924
|
$444,534,595
|
드래곤 길들이기 3 (2019)
|
$55,022,245
|
$160,945,505
|
$379,042,054
|
드래곤 길들이기 (2025)
|
$84,633,315
|
$1591,000,000
|
$113,321,764
|
지난주에도 언급한 바 있지만, 원작 애니메이션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실사로 즐길 수 있는 재미 요소를 더한 것이 흥행의 가장 큰 이유일 것입니다. 무엇보다 원작 애니메이션을 연출한 딘 데블로이스 감독이 직접 실사 버전도 연출을 했다는 점이 ‘드래곤 길들이기’가 갖고 있는 톤앤 매너를 유지하는 것에 성공했고요. 애니메이션 실사화에 대한 답은 어느 정도 나와있네요.
2위(N) 28 Years Later (소니)
28년 후 2025년 6월 19일 국내 개봉
주말수익 - $31,000,000 (-)
누적수익 - $31,000,000
해외수익 - $-
세계수익 - $31,000,000
상영관수 -3,444개 (-)
상영기간 - 1주차
제작비 - $60,000,000
평가 - 90%(토마토미터) / B(시네마스코어)
-2002년 대니 보일 감독이 선보였던 인류 종말 시대 공포 영화 <28일 후>는 '좀비'를 소재로 다룬 작품 중에서는 그야말로 전 세계적으로 히트를 쳤던 작품이라고 확언할 수 있습니다.
분노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세상이 멸망해 가는 과정을 그렸던 이 작품은 개봉 당시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지는 못했지만, 북미에서 4,500만 달러, 해외에서 2,756만 달러를 거두면서 흥행에 성공했었습니다. 왜 흥행에 성공했었냐고 묻는다면 이 작품의 제작비는 고작 800만 달러였기 때문입니다.
<28일 후>의 히트로 인해 당연히 속편 제작 요청은 쇄도했고, 대니 보일 감독은 감독이 아닌 제작자로 참여한 두 번째 이야기 <28주 후>가 2007년에 개봉합니다. 흥행이 나쁘지는 않았습니다. 북미에서 2,863만 달러 해외에서 3,640만 달러를 벌면서 (전체적으로 보자면) 전편과 엇비슷했으니까요. 다만 영화에 대한 평가는 나빴고, 대니 보일 감독 역시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었죠.
어쨌든 3편 제작도 가능한 성적이어서, 3편 제작 이야기는 나오고 있었는데, 결국 시간은 흘렀고 1편 개봉 23년, 2편 개봉 18년 만에 드디어 이 시리즈의 세 번째 이야기가 나왔으니 바로 이번 주 2위로 등장한 <28년 후>입니다. 대니 보일 감독이 연출자로, 알렉스 가랜드가 각본가로 참여하면서 <28일 후> 만든 사람들이 다시 손을 잡았습니다. 대니 보일 감독이 인터뷰에서 밝혔듯이 이 작품이 <28일 후>의 진짜 속편이라는 말도 틀린 말은 아닌 것 같기는 하죠.
어쨌든 뭐든 간에 개봉과 함께 팬들은 반응했습니다. 주말 3일 동안 약 3,100만 달러의 수익을 거두면서 시리즈 중에서는 물론 가장 높은 수익이고, <28주 후>의 최종 북미수익보다도 높은 수익을 거뒀습니다. '좀비' 영화하면 빠지지 않은 이전 시리즈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고, 예고편 공개와 함께 사람들의 기대치가 누적되어 있었던 반응이 터진 것으로 보입니다. 흥미로운 것은 공개 이후 작품에 대한 평가인데요. 전문가과 관객들의 반응이 꽤나 갈리기 때문입니다. 비평가들은 이번 작품에 대해 극찬을 보내는 반면, 관객들의 반응은 뜨뜻미지근하다고나 할까요.
그렇기에 다음주부터는 수익이 꽤 많이 빠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은 됩니다. 여기에 공포 영화 특성인 '첫 주 반짝 이후 시들'흐름도 나올테니까요. 그럼에도 해외수익까지 예측하자면 일단 <28> 시리즈의 귀환은 성공적이라고 보입니다. 이로 인해 이후 나올 두 편의 시리즈도 힘을 얻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니 보일 감독으로는 마음에 들지 않았던 <28주 후>의 아쉬움을 흥행과 비평에서는 <28년 후>로 풀어내는데는 성공했습니다. 아 중요한 것은 제작비인데요. 1편 800만 달러, 2편 1,500만 달러 3편은 6,000만 달러입니다. 손익분기점 돌파도 가능하리라 보입니다.
3위(N) Elio (디즈니)
엘리오 2025년 6월 18일 국내 개봉
주말수익 - $22,000,000 (-)
누적수익 - $22,000,000
해외수익 - $-
세계수익 - $22,000,000
상영관수 -3,750개 (-)
상영기간 - 1주차
제작비 - $150,000,000
평가 - 85%(토마토미터) / A(시네마스코어)
-우선 개봉수익을 보고 어쩌냐?라는 생각부터 들었습니다. 주말 3일 동안 2,200만 달러라니요.
<인사이드 아웃 2, 2024>로 픽사 스튜디오가 폼을 되찾았다고 한 지 1년이 채 안 되었으나, <엘리오>로 다시 폼을 잃은 듯 하네요. 픽사 스튜디오는 코로나 이후부터 흥행 파워에서는 왕년의 그 모습을 잃은 것은 분명합니다. 당시에 극장 개봉 대신 디즈니+ 오리지널 콘텐츠로 픽사 애니메이션을 돌린 전략은 실패했기 때문입니다. 이후 개봉했던 <버즈 라이트 이어, 2022>, <엘리멘탈, 2023> 등의 박스오피스 퍼포먼스로는 예전의 픽사가 아니라는 것을 다들 느꼈죠.
그러다가 2024년 <인사이드 아웃 2>로 '이게 픽사다!'를 보여주었고요. 그리고 나온 작품이 바로 <엘리오>입니다.
일단 <드래곤 길들이기>라는 강력한 경쟁작과 함께 <릴로 & 스티치>도 여전히 극장에 걸려있는 상황이다보니 관객 점유율 싸움에서 불리하긴 했습니다. 물론 왕년의 픽사라면 다른 두 작품이 불안에 떠는 게 맞을텐데, 그건 아닌 상황인 것이죠. 앞서 언급한 것처럼 주말 3일 동안 <엘리오>가 거둬들인 수익은 약 2,200만 달러로 개봉수익 낮은 걸로는 픽사 최고 작품이 되었네요. 픽사의 시작을 알렸던 <토이 스토리, 1995 / $29,140,617>보다도 낮게 나왔다는 것은 조금은 충격입니다.
<엘리오>가 거는 기대치는 2,960만 달러로 시작해 최종적으로는 1억 5,400만 달러까지 수익을 끌어올렸던 <엘리멘탈>일텐데요. <엘리오>가 그렇게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엘리멘탈>보다 평가가 좋다는 것이 그 기대치의 근원이기도 하고요.
디즈니로서는 <엘리멘탈>처럼 될 수도 있겠다는 희망을 갖고는 있지만, SF가족 애니메이션은 흥행에서 어려움을 겪는다라는 점, 그리고 조금만 기다리면 디즈니+에서 만날 수 있는 관객들의 생각, 여기에 <메간 2.0>, <F1: 더 무비>,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으로 줄줄이 이어지는 흥행 기대작들에 어떻게 맞설지를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워 보입니다. 그럼에도 제작비가 1억5,000만 달러라고 생각하면 손익분기점을 넘는 것이 쉽지 않아보이네요.
4위(▼2) Lilo & Stitch (디즈니)
릴로 & 스티치 2025년 5월 21일 국내 개봉
주말수익 - $9,700,000 (수익증감률 -38%)
누적수익 - $386,700,000
해외수익 - $492,000,000
세계수익 - $878,700,000
상영관수 -3,375개 (-300)
상영기간 - 5주차
제작비 - $100,000,000
평가 - 68%(토마토미터) / A(시네마스코어)
5위(▼1) Mission: Impossible – The Final Reckoning (파라마운트)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2025년 5월 17일 국내 개봉
주말수익 - $7,100,000 (수익증감률 -33%)
누적수익 - $178,900,000
해외수익 - $340,500,000
세계수익 - $518,400,000
상영관수 -2,603개 (-339)
상영기간 - 5주차
제작비 - $400,000,000
평가 - 80%(토마토미터) / A- (시네마스코어)
6위(▼3) Materialists (A24)
주말수익 - $6,000,000 (수익증감률 -45%)
누적수익 - $24,100,000
해외수익 - $3,500,000
세계수익 - $27,600,000
상영관수 -2,844개 (-)
상영기간 -2주차
제작비 - $20,000,000
평가 - 87%(토마토미터) / B-(시네마스코어)
-<엘리오> 입장에서는 <드래곤 길들이기>야 그렇다쳐도, 한지붕 아래에 있는 <릴로 & 스티치>의 흥행 지속력이 떨어지지 않는 것이 아쉬울 것입니다. 개봉 5주차를 맞이했음에도 <릴로 & 스티치>는 여전히 주말수익 천만 달러대에 가깝게 유지했습니다. 이에 누적수익은 3억 8,700만 달러를 거두었고요. 4억 달러까지는 1,300만 달러가 남았는데, 무난히 돌파할 것으로 보이네요. 자연스레 세계수익도 9억 달러를 넘길 것으로 보이고요. 이렇게 흥행을 한 작품임데 아직까지 속편 제작 확정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기는 한데요. 이거 속편 안 만들면 디즈니가 이상한 거 아닐까요.
톰 크루즈는 마지막까지 쥐어 짜내며 달리는 중입니다. 다행인 것인지 여전히 톱10에 머물러있고, 2025년 유독 액션 영화가 흥행에서 박한 평가를 받고 있으나, 그 중에서는 최고 평가를 받으면서 나름 액션 영화의 자존심을 세워주었습니다. 제작비만 어느 정도 합리적인 수준이었다면야 멋진 라스트 댄스가 되었을텐데, 무지막지한 제작비로 인해 벌어도 벌어도 끝이 보이지 않는 느낌이긴 하네요. 현재까지 흥행 성적(북미수익 기준)을 보면 전편인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은 넘겼습니다.
미션 임파서블 북미박스오피스 히스토리
|
||
제목 (개봉 역순)
|
개봉수익
|
최종수익 (북미 수익)
|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2025)
|
$64,0236,428
|
$178,900,000
|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2023)
|
$54,688,347
|
$172,640,980
|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2018)
|
$61,236,534
|
$220,159,104
|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2015)
|
$55,520,089
|
$195,042,377
|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2011)
|
$12,785,204 (제한개봉)
|
$209,397,903
|
미션 임파서블 3 (2006)
|
$47,743,273
|
$134,029,801
|
미션 임파서블 2 (2000)
|
$57,845,297
|
$215,409,889
|
미션 임파서블 (1996)
|
$45,436,830
|
$180,981,856
|
연출 데뷔작인 <패스트 라이브즈, 2023>로 아카데미 작품상과 각본상 후보에 올랐던 셀린 송 감독의 두 번째 작품인 <머터리얼리스트>가 지난주 3위로 박스오피스에 등장하면서 소포모어 징크스가 없음을 증명해었는데요. 전문가 평점과 관객 평점 고득점을 기록했고, 가족 영화와, 공포, 액션 영화 틈바구니들 사이에서 로맨틱 코미디로 그 존재감 제대로 보여주었죠. 이번 주 역시 두 편의 강력한 신작들로 밀려날 수 밖에 없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결과적으로는 꽤 잘 방어했습니다. 주말 3일 동안 약 600만 달러의 수익을 거두었고, 누적수익 2,400만 달러를 기록했네요. 제작비가 2,000만 달러여서 손익분기점 돌파는 조금 남았기는 했지만, 충분히 넘길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머터리얼리스트>를 배급한 A24는 올해 유독 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도 그럴 것이 가장 높은 수익을 기록한 작품이 2,578만 달러의 수익을 거둔 <워페어>기 때문입니다. 기대했던 <브링 허 백>, <데스 오브 유니콘> 등이 흥행에서 큰 재미를 보지 못했으니까요. 그런데 <머터리얼리스트>가 그래도 A24가 아직 죽지 않았다는 것으로 보여준 것 같습니다. 이대로만 간다면 2025년 A24 배급작품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수익을 기록한 작품이 될 것은 분명하고요. 흥행이 잘 풀리지 않는다고 해도 A24의 노선은 역시 이런 작고 특색있는 영화가 맞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최근 게임 <엘든링>의 판권을 구입해 제작한다는 뉴스가 나왔는데, 솔직히 걱정은 됩니다.
7위(▼2) From the World of John Wick: Ballerina (발레리나)
발레리나 2025년 8월 국내 개봉
주말수익 - $4,600,000 (수익증감률 -52%)
누적수익 - $51,200,000
해외수익 - $49,700,000
세계수익 - $100,900,000
상영관수 -2,537개 (-872)
상영기간 - 3주차
제작비 - $90,000,000
평가 - 75%(토마토미터) / A- (시네마스코어)
8위(▼2) Karate Kid: Legends (소니)
베스트키드: 레전드
주말수익 - $2,400,000 (수익증감률 -54%)
누적수익 - $49,300,000
해외수익 - $45,800,000
세계수익 - $104,100,000
상영관수 -2,006개 (-1,002)
상영기간 - 4주차
제작비 - $45,000,000
평가 - 89%(토마토미터) / A- (시네마스코어)
9위(▼2) Final Destination Bloodlines (워너)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블러드라인 2025년 5월 14일 국내 개봉
주말수익 - $1,900,000 (수익증감률 -53%)
누적수익 - $134,800,000
해외수익 - $141,300,000
세계수익 - $275,100,000
상영관수 -1,342개 (-796)
상영기간 - ^주차
제작비 - $50,000,000
평가 - 89%(토마토미터) / B+(시네마스코어)
10위(N) Kuberra (Prath)
주말수익 - $1,850,000 (-)
누적수익 - $1,850,000
해외수익 - $-
세계수익 - $1,850,000
상영관수 -500개 (-)
상영기간 - 1주차
제작비 - $-
평가 - -%(토마토미터) / -(시네마스코어)
-존 윅 덕 좀 보려고 했던 <존 윅 3.5>라고 불리고 있는 <발레리나>가 박스오피스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네요. 워낙에 거대한 IP를 등에 업고 개봉한터러 다른 작품들에 비해 꽤 유리한 상황이었는데 역시 경쟁이 쉽지 않았습니다. 개봉 3주차를 맞이해서 겨우겨우 5,000만 달러를 맞추기는 했는데, 9,000만 달러의 제작비를 감당하는 것이 힘들어 보이네요. 나머지 금액은 해외수익에서 보전해야 하는 데, 이게 가능할까 싶기도 하고요. 라이온스게이트로서는 2025년 라이온스게이트 배급작 중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기록 중이라는 것을 위안을 삼아야 할까요. 웃어도 웃는게 아닌 웃는 것인지, 우는 것인지 모를 상황이기는 합니다.
존 윅 유니버스 박스오피스 히스토리 (*박스오피스 1위)
|
||
제목
|
개봉수익
|
최종수익
|
존 윅 (2014)
|
$14,415,922
|
$43,037,835
|
존 윅: 리로드 (2017)
|
$30,436,123
|
$92,029,184
|
존 윅 3: 파라벨룸 (2019)*
|
$56,818,067
|
$171,015,687
|
존 윅 4 (2023)*
|
$73,817,950
|
$187,131,806
|
발레리나 (2025)
|
$24,501,663
|
$51,200,000 (상영중)
|
<베스트 키드: 레전드>와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블러드라인>은 이제 종영 수순으로 가는 중입니다.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블러드라인>은 유료 VOD 서비스를 시작했고, 예상했던 것보다도 훨씬 많이 번 수익이지만 이젠 2차 시장에서도 많은 돈을 벌 것으로 예상은 됩니다.
이번 주 10위는 <쿠베라>가 차지했습니다. 북미 박스오피스에서 개봉만하면 한 자리는 차지하는, 장르라고 구분해도 되는 인도 영화입니다. 이 작품은 걸인이 엄청나 부와 권력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되면서 벌어지는 범죄,정치 스릴러입니다. 최근 로맨스 영화를 주로 선보였던 세카르 카물라 감독이 오랜만에 들고 나온 정치 스릴러물인 이 작품은 인도 영화 답게(?) 러닝타임이 3시간이 넘음에도 북미 내 인도 관객들에게 호응을 얻으면서 박스오피스 톱10 진입에 성공했습니다.